나르시스트의 특성은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데에서 시작하며, 그들을 충분히 인정하거나 칭송하지 않으면 분노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나르시스트와 관계를 맺고 그들의 요구를 맞추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어릴 적, 저는 "왜 아빠는 사람들과 그렇게 마찰이 많았을까? 왜 친척들은 아빠를 멀리하려고 할까?"라는 의문을 품었습니다. 하지만 나르시스트에 대해 알게 된 지금, 그 모든 행동들이 이해되기 시작했습니다. 아빠는 자신의 생일날 친척들을 초대해 즐겁게 식사하고, 자신의 무용담을 늘어놓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내가 얼마나 대단한 일을 했는지"를 강조하며 이야기를 이어가곤 했죠. 처음에는 친척들도 들어주는 척했지만, 시간이 지나면 반응이 점점 무덤덤해졌습니다. 그
런 순간이 오면 아빠는 대화의 방향을 바꿔, 자신이 가족과 친척들을 위해 얼마나 헌신했는지 강조하며 상대방을 깎아내리기 시작했습니다. 목소리는 커지고, 분위기는 점점 불편해졌죠. 결국, 아빠는 자신이 칭송받고 싶다는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면 화를 내며 상황을 더 악화시켰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반복되었고, 결국 주변 사람들은 아빠를 점점 멀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런 모습을 보며 "왜 사람들이 떠날까?"라는 의문을 가졌지만, 이제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빠는 술집에 자주 다녔는데, 아마도 그곳에서 마담들이 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무조건 떠받들어줬기 때문일 겁니다. 아빠가 원하는 것은 누군가 자신을 인정하고 칭송해주는 것이었으니까요. 이렇게만 쓸예정인데,, 제목으로 나르시스트는 항상 자신을 과대평가한다.
'나르시스트와 에코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풀어진 호의가 권리로 변할 때 (0) | 2024.08.22 |
---|---|
나르시스트와의 평화로운 시간 후, 사소한 갈등의 끊임없는 반복과 폭행 (0) | 2024.05.04 |
나르시스트에게 만족이란 없다. 계속되는 호의는 권리가 된다. (0) | 2024.04.03 |
나르시시스트는 왜 감사하지 않을까? (0) | 2024.04.03 |
나르시스트 가족 환경에서의 스케이프고트의 돈에 대한 태도와 가족 눈치 (0)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