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NetCore 10

Model, 데이타베이스 마이그레이션(Y)

1. 설치하기 microsoft SQL Server Management Studio와 Express를 설치해야합니다. 아래에서 express를 설치해야합니다. 2. 모델만들기 모델을 테이블을 만든다고 생가하면됩니다. 그래서 모델의 이름과 테이블의 이름을 동일해야합니다. public class ApplicationUser { //ApplicationUser테이블의 필드명을 정해주었다. [Key] [Required(ErrorMessage="required")] public int UserId { get; set; } [Display(Name ="이름을 입력해주세요")] public string UserName { get; set; } [Display(Name = "연락처 입력해주세요")] public str..

BackEND/NetCore 2022.08.31

뷰모델, 뷰임포트, 뷰페이지(Y)

1. 뷰모델이 필요한 이유는 ? 기본 모델은 테이블을 만드는것이라면, 뷰모델은 원하는 컬럼을 뽑아서 사용하고자 할떄 또는 첨부파일관련해서 SQL 이 지원하지 않는 타입을 써야할때 뷰모델을 따로 만들어줘서 사용했다. 2. ViewModels 라는 폴더를 만들가 그하단에 오른쪽버튼 class추가를해서 모델이름+ViewModel를 추가해서 사용했다. 3. _ViewImports.html에 ViewModels폴더를 등록해야한다. @using Web.ViewModels 4. 뷰페이지에서 뷰모델을 불러온다. @model ApplicationUserViewModel //Contains types for handling HTTP requests and responses @using Microsoft.AspNetCore..

BackEND/NetCore 2022.08.29

Where절, OrderBy

#region + Linq 분류 (2가지) // Linq 분류 (2가지) // 1. 쿼리구문 // from user in users where.. // 2. 메서드구문 // db.users.where().ToList(); #endregion #region + Where절 // where() , order by() // select * from users where UserId = 1 //var list = db.Users.ToList(); #endregion #region + Where절 구체적으로 // select * from users where UserName = 'hee' //var list = db.Users.Where(u => u.UserName == "hee"); // u => u (아무 알..

BackEND/NetCore 2021.05.04

Select, Insert, Update, Delete문

// 1. select 쿼리 //1) DbSet selectList = db.Users; //2) List selectList = db.Users.ToList(); //3) IEnumerable selectList = db.Users.AsEnumerable(); //List selectList = db.Users.ToList(); //foreach (var item in selectList) //{ // Console.WriteLine(item.UserName); //} // 2. Insert 쿼리 // db.Users.Add(User); 선언한 dbcontext에서 Users라는 테이블에 추가한다. User클래스를 추가한다. // db.SaveChanges(); commit //var user = ne..

BackEND/NetCore 2021.05.04

자료형과 리스트

1) 기본자료형 int, string, double(소수점이 포함된거), long(int 64), float 2) 사용자 정의 Class 객체 3) 자료형과 리스트 var list = List( ); list.Add(new User { Name ="", birth = 930909 }... #region + Non Generic collection example (ctrl + k + s), Comment( ctrl + k + c) //Non Generic Collection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DotNet"); //list.Add(2.1); //list.Add("ASP.NET CoRE"); //foreach (var item in list)..

BackEND/NetCore 2021.05.01

뷰모델

*WorkOrderViewModel.cs? 두개의 테이블 (Raw.cs 작업한제품, WorkOrder.cs 주문서)등을 하나의 페이지에 보여주고 싶을때, ViewModels폴더안에 WorkOrderViewModel이름으로 만들어서 속성을 다시 정의해준다. public class WorkOrderViewModel { public Raw Raw { get; set; } public List WorkOrder { get; set; } } HomeController.cs * 테이블의 속성값을 설정해준다. Raw.cs (작업한제품) WorkOrder.cs (주문서) public IActionResult Raw() { //WorkOrder리스트를 workorders라는 이름으로 만든다. List WorkOrders..

BackEND/NetCore 2021.02.15

TagHelper, asp-validation-for

1. HomeController.cs 에서 ModelState.IsValid 어떤 필드에서 에러가 났었는지 확인한다. Student.cshtml에서 사용자에게 에러를 보여주기위해서 asp-validation-for 를 넣는다. html 폼값을 HomeController로 보낸다. MVC프레임워크에서 자동적으로 form 입력값들을 자동적으로 student타입형의 매개변수로 변환해준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asp-for를 사용하고 , 사용자에게 에러를 보여주기위해서는 asp-validation-for 를 사용해야한다. Student이라는 모델은 Name, Age, Country를 Required로 선언했다. 그리고 그것의 길이를 최대 50, 그리고 나이에 대한 범위를 따로 지정해줄수 있고, Country의 ..

BackEND/NetCore 2020.12.13

유효성체크 Bind사용법

1. Controllers > HomeController.cs [HttpPost] Post방식을 의미한다. home/student 라고 URL치면 해당 View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Student model라는 의미는 모델에서 지정한 Student.cs를 불러오는데 여기에서는 이것을 model이라는 이름으로 불어오겠다는 뜻이다. 2. Models > Student.cs 모델에서는 속성값을 정해줄 수 있다. 닷넷코어에서는 아래와같이 get; set;이라고만해줘도 다 인지시켜준다. Student라는 테이블은 Name, Age, Country라는 필드가 있다 아래와 같이 BineNever라고 적어주면 Name값은 넘어오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6. Views > Home > Student.cshtml 아래와같..

BackEND/NetCore 2020.12.01

controller에서 view 로 접근하는방법

1. Controllers폴더를 만들었고, 그하단에 컨트롤러로써 HomeController.cs 를 만들었다. 이것의 이름은 아무거나 지정해줘도 된다. 이렇게 HomeController 만들었기때문에, Views폴더에서 Home이라는 폴더를 만들어야한다. 만약에 컨트롤러를 TechController.cs로 만들었고 이것에 대한 View를 만들고 싶으면 Tech라는 폴더를 Views하단에 만들어줘야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HomeController로 만들었다. 2. Views폴더를 만들고, HomeController에서 Controller앞글자를 딴 Home폴더를 만들고 그 하단에 레이져뷰를 추가해야, Homecontroller가 view -> Home -> 페이지에 접근이 가능한다. 3. Student...

BackEND/NetCore 2020.11.30

app.UseStaticFiles();

public void Configure(IApplicationBuilder app, IHostingEnvironment env) { if (env.IsDevelopment()) { app.UseDeveloperExceptionPage(); } app.UseStaticFiles(); } app.UseStaticFiles(); 추가해줌으로써, wwwroot안에 있는 정적 파일을 인지한다. 그래서 app.UseStaticFiles(); 적어두지 않으면 wwwroot폴더를 인지하지 못해서 css또는 이미지 파일이 안 나온다. 그럴때는 위와같이 app.UseStaticFiles();를 configure함수에 넣어줘야한다. wwwroot폴더에는 정적파일이 들어간다고 생각하며된다.

BackEND/NetCore 2020.11.30